입추, 아직 더운데 왜 가을 시작일까요? 입추의 진짜 의미 알아보기

8월의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어느덧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추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입추는 24절기 중 13번째 절기로, ‘여름이 끝나고 가을이 시작되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막상 입추가 되어도 땡볕 아래 땀 뻘뻘 흘리는 우리는 “가을은 아직 멀었나 봐” 하는 생각을 하곤 하죠. 도대체 왜 입추는 가을의 시작인데 아직도 더운 걸까요? 입추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입추가 가진 의미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입추, 어떤 의미를 가진 절기일까요?

입추는 ‘가을이 시작된다’는 의미를 가진 절기입니다. ‘입(立)’은 ‘서다’ 또는 ‘들어가다’라는 뜻이며, ‘추(秋)’는 ‘가을’을 의미합니다. 즉, 입추는 가을이 시작되는 시점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것처럼 입추가 되면 바로 선선한 가을바람이 불어오는 것은 아닙니다. 입추는 ‘계절의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을 나타내는 것이지, ‘바로 가을이 왔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입추는 농경 사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졌습니다. 입추가 지나면 농부들은 가을걷이를 준비하고, 겨울을 대비하여 김장을 시작했습니다.

입추, 24절기 속에서 살펴보기

24절기는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1년을 24등분하여 만든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기준입니다. 입추는 24절기 중 13번째 절기로, 여름의 끝자락을 알리는 대서(大暑)와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처서(處暑) 사이에 위치합니다.

24절기는 중국 화북 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실제 날씨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입추가 되더라도 아직은 더운 날씨가 계속될 수 있습니다.

절기 황경 양력 의미
입춘 315° 2월 4~5일 봄의 시작
입하 45° 5월 5~6일 여름의 시작
입추 135° 8월 7~8일 가을의 시작
입동 225° 11월 7~8일 겨울의 시작

입추,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의미일까요?

우리나라에서는 입추가 지나면 본격적인 가을 채비를 시작했습니다. 가을걷이를 준비하고, 김장을 위한 무와 배추를 심는 등 겨울을 대비하는 일들이 시작되었습니다.

입추는 농경 사회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졌습니다. 입추가 지나면 밤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낮에는 아직 더위가 남아 있지만 아침 저녁으로는 선선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입추를 기점으로 옷차림을 가볍게 하고, 일상 생활에 변화를 주었습니다.

입추, 관련된 풍습 알아보기

입추에는 다양한 풍습이 전해져 내려오는데요. 대표적인 풍습으로는 기청제(祈晴祭)가 있습니다. 기청제는 벼가 익어가는 시기에 비가 오지 않도록 하늘에 기도하는 제사입니다. 입추 무렵은 벼가 한창 여무는 시기이기 때문에 비가 내리는 것을 재앙으로 여겼습니다. 따라서 비가 내리지 않고 맑은 날이 계속되기를 바라며 기청제를 지냈습니다.

또한 입추에는 날씨를 보고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입추에 하늘이 맑으면 풍년이 들고, 비가 오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습니다.

입추, 관련된 속담 속으로

입추와 관련된 속담은 농경 사회에서의 삶과 자연의 변화를 잘 보여줍니다.

“입추 지나면 더위가 간다” 는 속담은 입추가 지나면 본격적인 가을이 시작되어 더위가 물러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입추 때는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 는 속담은 입추 무렵 벼가 빠르게 자라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가을걷이를 앞둔 농부들의 기대감을 반영합니다.

오늘 알아본 내용 어떠셨나요? 입추는 단순히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가 아니라, 우리 조상들이 자연의 변화에 맞춰 살아온 지혜가 담겨 있는 소중한 날입니다. 앞으로 입추를 맞이할 때, 단순히 날씨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입추가 가진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은 어떨까요?

다음에도 더욱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블로그 구독과 다른 게시글도 방문해주세요!